최근기사
|
뉴스일반
|
아동/청소년
|
노인
|
장애인
|
사회공헌
|
기획특집
칼럼
|
복지코너
|
복지만평
|
데스크에서
|
기고/투고
|
성명서/논평
포토
人터뷰
|
동정
|
구인
문화
|
독자마당
|
공지사항
홈
오피니언
칼럼
늙지는 마라
알버트 아인슈타인은 이런 말을 했다. “오래 살더라도 늙지는 마라. 우리에게 생명을 준 위대한 신비 앞에서 호기심 가득한 아이들처럼 계속 살아가라.” 물리학자인 그를 왜 20세기의 위대한 지성으로 손꼽는지 알 수 있는 명언이 아닌가 한다. 그도 늙음에 대해 자유...
한글날에 부끄럽다.
한글날이 다시 공휴일로 지정되었다. 쉬는 날이 많으면 산업발전을 저해한다는 논리에 밀려 공휴일에서 제외된 지 23년 만이다. 다만 공휴일로 지정되어서 하루 쉬는 날로만 생각하고 지나가기에는 한글이 우리 민족에게 끼친 문화적 의미나 실생활에 끼친 고마움이 너무나 크다. ...
정(情) 고픈 사회
생텍쥐페리의 <어린왕자>에 보면 ‘꽃향기를 맡아보지 못한 사람은 버섯’이라는 구절이 나온다. "내가 아는 어떤 별에는 얼굴이 불그죽죽한 아저씨가 살고 있어요. 그 사람은 꽃향기라곤 맡아본 적이 없었대요. 별을 바라본 적도 없고 누구를 사랑해 본 적도 ...
사자의 몸속 벌레
참 가관이다. 영등포경찰서가 얼마 전 모 복지시설장을 구속했다. 그 시설장은 기초생활보장 수급자로 선정되게 도와준다며 수수료 등 명목으로 매달 수급비용의 20%를 뜯어내는 등 총 112명의 수급자로부터 1억 6,000만 원 상당의 부당이득을 취하고, 수급자로 선정된 사...
인간의 양식
“왜 사는지 아는 사람은 어떻게 살아야 할지도 알고 있다.” 철학자 프리드리히 니체가 한 말이다. 이 말은 곱씹을수록 맛난 말이다. 평소 나에게 어떻게 살아야 할지 수없이 물어온 말이기도 하다. 누군가 실수를 저질렀을 때 “인간아, 왜 사냐?” 하고 핀잔...
길이 아니면 제발…
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시지프스라는 인간은 제우스신의 비행을 폭로한 허물로 제우스신의 미움을 사게 돼 수배령이 내려졌는데 요리조리 피해 잘 살다가 결국은 명계(冥界)의 왕 하데스에게 끌려간다. 하데스는 시지프스에게 높은 산꼭대기 위에 항상 큰 바위가 ...
다수의 행복은 어디서 오는가
얼마 전 중소기업중앙회가 `창조경제와 중소기업혁신 글로벌 심포지엄`을 개최했다. 이 자리에서 올리버 윌리엄스 UN 글로벌컴펙 운영위원장은 "최대 다수의 최대행복(공리주의)을 위해 다른 권리가 무시되는 경우가 있는데, 한국도 빠른 경제성장을 위해 소수의 대기업...
홍명보 감독에게 배울 일
말도 많고 탈도 많은 대한민국 대표팀 축구감독. ‘독이 든 성배’로까지 비유되는 그 자리에 국민의 영원한 리베로 홍 감독이 취임했다. 그의 취임이 대한민국 축구에 어떤 족적을 남길지는 모르겠으나 그의 출사표는 참으로 신선하고 경이롭다. 국민들에게 희망...
‘절망’이라는 병
요양시설에 봉사를 갔다가 노인들을 보고 나의 미래를 보는 듯해 콧등이 시큼한 적이 있다. 온종일 누워서 죽음을 기다리는 듯 멍하니 천장만 바라보고 있는 이들에게 삶의 의미는 무엇일까? 살아있다고 느끼기나 할까? 희망은 있을까? 덴마크 실존...
인간을 탐구하라
평소 사회복지에 관심이 많았던 필자는 몇 년 전 복지관에서 근무하는 사회복지사를 보고 저런 분야에는 늙수그레한 젊은 오빠(?)가 있으면 더 효과적일 텐데 하는 생각이 들어 앞뒤 가리지 않고 덜컥 공부를 시작하였고 마침내 사회복지사 자격을 취득하였다. 아직 현...
[1]
[2]
[3]
[4]
[5]
6
[7]
제목
내용
기자
제주항공 참사 유가족에 돌봄 서비...
문현노인복지관, 슬로건 공모전 시...
서울시립 장애인생산품판매시설, N...
이기일 차관, 노인복지주택 운영 ...
보건복지부,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...
노숙인 등의 복지 및 자립지원에 ...
제주항공 사고 희생자 분들의 명복...
이기일 보건복지부 1차관, 지역아...